출처:언스플래쉬 |
대한민국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대표 정책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7월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다. 신청 기간은 7월 1일부터 11일까지 단 9영업일간 진행되며, 해당 계좌는 높은 금리 효과와 정부 기여금 지원, 그리고 비과세 혜택까지 더해져 “청년 재테크의 정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잘 활용하면, 월 70만원 납입 시 만기 5년 기준 최대 5,000만 원 이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다. 신청은 시중 주요 은행 앱을 통해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일정 요건을 충족한 청년이라면 누구나 도전 가능하다.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사이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 정책상품이다. 2023년 6월 처음 출시되어 지금까지 누적 신청자만 335만 3,000명을 돌파했으며 실제 계좌 개설자 수는 212만 6,000명에 달한다.
정부는 이번 7월에도 해당 제도를 지속 운영하며, 청년층이 자산을 체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 주요 혜택 요약
항목 | 내용 |
---|---|
가입 대상 | 만 19~34세, 소득 요건 충족 청년 |
소득 조건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원 |
정부 기여금 | 3~6% 매칭 지원 |
금리 효과 | 일반적금 대비 연 최대 9.54% 수준 |
세제 혜택 |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
만기 수령액 | 본인 납입 4,200만원 + 정부기여금 800만원 + 이자 등으로 총 5,000만원 이상 가능 |
📌 신청 방법
청년도약계좌의 신청은 간편하고 온라인 중심이다.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iM뱅크·광주·전북·경남은행 등 11개 시중은행 앱(App)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신청 기간: 2025년 7월 1일(월) ~ 11일(금)까지
신청 경로: 각 은행 앱 로그인 → 청년도약계좌 메뉴 → 신청서 작성 → 소득 확인 절차
👨👩👧 가구별 계좌 개설 시기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원 수에 따라 계좌 개설 가능 날짜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신청은 1일부터 가능하지만, 실제 계좌 개설은 다음 기준을 따라야 한다.
가구 유형 | 계좌 개설 가능일 |
---|---|
1인 가구 | 7월 17일 ~ 8월 8일 |
2인 이상 가구 | 7월 28일 ~ 8월 8일 |
※ 개설은 은행 영업일 기준으로만 가능하며, 반드시 해당 기간 내에 개설 절차를 완료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왜 지금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야 하나?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예금이나 적금 상품이 아니다. 정부의 매칭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 높은 이자율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최대 연 9.54%에 달하는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는 시중은행의 일반적금 대비 3~4배 이상 높은 수치로, 청년 자산 형성 상품 중 최고 수준의 수익률을 자랑한다. 단순히 돈을 모으는 것을 넘어, 정부의 혜택까지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 실 사례로 보는 청년도약계좌 활용
👨🎓 대학원생 A씨 (27세): "매달 70만 원씩 5년간 모아 총 5,200만 원 수령 예정입니다. 단순 적금보다 이자가 훨씬 많고, 무엇보다 정부가 지원해줘 든든합니다."
👩💻 직장인 B씨 (31세): "퇴근 후 시간이 없어도 앱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주택청약통장과 병행하여 자산을 이중으로 관리하고 있어요."
📝 수기 공모전도 열려요!
서민금융진흥원은 청년도약계좌와 함께 ‘원스톱 청년금융 컨설팅센터 이용 수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본인의 경험을 글로 남기면 푸짐한 상품도 받을 수 있다!
항목 | 내용 |
---|---|
공모 주제 | 상담 후 변화하고 성장한 나의 모습 |
응모 기간 | 7월 7일 ~ 8월 10일 |
접수 방법 | 서금원 홈페이지에서 양식 다운로드 → 구글폼 제출 |
시상 내역 | 최우수상 1명(50만원), 우수상 3명(각 20만원), 장려상 20명(모바일상품권 1만원) |
🔍 마무리 요약
구분 | 내용 |
---|---|
신청 기간 | 2025년 7월 1일 ~ 11일 |
계좌 개설 기간 | 1인 가구: 7월 7일8월 8일<br>2인 이상 가구: 7월 28일8월 8일 |
대상 | 만 19~34세, 소득 요건 충족 청년 |
주요 혜택 | 월 70만원 납입 시 최대 9.54% 금리 효과, 비과세, 정부 기여금 |
신청 은행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iM, 광주, 전북, 경남 |
0 댓글